제너레이터란?
ES6에서 도입된 제너레이터는 코드 블록의 실행을 일시 중지했다가 필요한 시점에 재개할 수
있는 특수한 함수다. 일반 함수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제너레이터 함수는 함수 호출자에게 함수 실행의 제어권을 양도할 수 있다.
일반 함수를 호출하면 제어권이 함수에게 넘어가고 함수 코드를 일괄 실행한다.
즉, 함수 호출자는 함수를 호출한 이후 함수 실행을 제어할 수 없다. 그러나 제너레이터 함수는
함수 실행을 호출자가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함수의 제어권을 함수가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호출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제너레이터 함수는 함수 호출자와 함수의 상태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반 함수를 호출하면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 외부에서 값을 주입받고 함수 코드를 일괄
실행하여 결과값을 함수 외부로 반환한다. 즉, 함수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값을 전달하여 함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없다. 제너레이터 함수는 호출자와
양방향으로 함수의 상태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호출자에게 상태를 전달할 수 있고 호출자로부터
상태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3. 제너레이터 함수를 호출하면 제너레이터 객체를 반환한다.
제너레이터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 코드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터러블이면서 동시에
이터레이터인 제너레이터 객체를 반환한다.
제너레이터 함수의 정의
제너레이터 함수는 function* 키워드로 선언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yield 표현식을 포함한다.
애스터리스크(*)의 위치는 function 키워드와 함수 이름 사이라면 어디든지 상관없다.
function* genDeFunc() {
yield 1;
}
제너레이터 함수는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 없다.
제너레이터 객체
제너레이터 함수를 호출하면 제너레이터 객체를 생성해 반환한다.
제너레이터 객체는 이터러블이면서 동시에 이터레이터다.
async/await
ES8에서는 제너레이터보다 간단하고 가독성 좋게 비동기 처리를 동기 처리처럼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async/await가 도입되었다.
async/await는 프로미스를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기존의 후속 처리 메서드를 통해 비동기 처리
결과를 후속 처리할 필요 없이 마치 동기 처리처럼 프로미스를 사용할 수 있다.
const fetch = require("node-fetch");
async function fetchTodo() {
const 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const response = await fetch(url);
const todo = await response.json();
console.log(todo);
}
async 함수
await 키워드는 반드시 async 함수 내부에서 사용해야 한다.
async 함수는 async 키워드를 사용해 정의하며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await 키워드
await 키워드는 프로미스가 settled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settled 상태가 되면
프로미스가 resolve한 처리 결과를 반환한다. 반드시 프로미스 앞에서 사용해야 한다.
에러 처리
async/await에서 에러 처리는 try...catch 문을 사용할 수 있다.
async 함수 내에서 catch 문을 사용해서 에러 처리를 하지 않으면 async 함수는 발생한
에러를 reject 하는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7장 에러 처리 (1) | 2024.11.09 |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5장 프로미스 (2) | 2024.11.07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3장 Ajax (1) | 2024.11.04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42장 비동기 프로그래밍 (2) | 2024.11.02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39장 DOM (2) (1)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