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깃허브 사용법에 익숙해지기 위해 레포를 생성해 프로젝트를 업로드하고, 업로드 한 프로젝트를 다른 폴더에 받아와 보자.
우선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한다.
레포를 생성했으니 나의 프로젝트와 레포를 연결해보자
- git remote add origin(원격저장소 별칭) (원격저장소url)
연결 후 git log를 확인해보면
잘 연결이 되어있다. 사실 여기까지 하고 깃허브를 확인했는데 레포가 그대로길래 잠깐 당황했다. 내 머리가 이렇다...
이제 깃허브와 연결되어 있으니 프로젝트를 올려보자
- git push origin master
위에서 확인한 git log 에서 HEAD가 master로 되어있으니 master에 push하면 된다.
성공적!
연결 뿐이 아니라 push 까지 해야 깃허브 레포에 프로젝트가 업로드 된다.
깃허브에서 프로젝트 로컬로 가져오기
- git clone (원격저장소url)
push, pull 을 통해 수정사항 올리기, 가져오기
- git push origin master
korean.txt 라는 파일을 만들어 커밋 후 push 진행
항상 git log를 확인하자
깃허브에도 성공적으로 올라와있다.
- git pull origin master
pull을 통해 수정사항을 로컬로 받아오기도 성공!